728x90
반응형
실습 설명
n번째 피보나치 수를 찾아주는 함수 fib_memo을 작성해 보세요.
fib_memo는 꼭 memoization 방식으로 구현하셔야 합니다!
실습 결과
# 캐시에 담긴 n번째 피보나치 수를 반환
def fib_memo(n, cache):
#base case
if n <= 2:
return 1
# 캐시에 저장된 피보나치 수가 있으면?
if n in cache:
return cache[n]
# 캐시에 없으면, 캐시에 저장
else:
cache[n] = fib_memo(n-1, cache) + fib_memo(n-2, cache)
return cache[n]
def fib(n):
# n번째 피보나치 수를 담는 사전
fib_cache = {}
return fib_memo(n, fib_cache)
# 테스트 코드
print(fib(10))
print(fib(50))
print(fib(100))
55
12586269025
354224848179261915075
728x90
반응형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피보나치 수열 (3) 공간 최적화 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★ (0) | 2023.09.18 |
---|---|
[파이썬] 피보나치 수열 (2) tabulation로 구현 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★ (0) | 2023.09.18 |
[파이썬] 퀵정렬 (3) 퀵 정렬 더 멋있게 구현하기 - 분할정복 ★ (0) | 2023.09.18 |
[파이썬] 퀵정렬 (2) quicksort 함수 - 분할정복 ★ (0) | 2023.09.17 |
[파이썬] 퀵정렬 (1) partition 함수 - 분할정복 ★ (0) | 2023.09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