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pringboot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DB네이빙 룰(DB Physical Naming Strategy)은 아래와 같습니다!
- 모든 테이블명은 소문자
- 카멜케이스 대문자는 '_'로 대체됨
그럼 이미 대문자로 DB스키마를 설계한 경우, 전부 소문자로 바꿔줘야 할까요?!
아닙니다!

위의 사진처럼 application.yml 파일에서 JPA의 네이밍 규칙을 모델에 설정된 규칙으로 변경한다고 설정해 주기만 하면 대문자로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!

Model 클래스에서 Table 명세를 대문자로 해둔 것처럼 JPA가 대문자 테이블을 잘 잡아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~
출처 :
JPA Entity Table 대소문자 네이밍 에러
문제 발생 JPA를 통해 Entity를 생성할 때 name 속성으로 "USER_TB" 이렇게 대문자로 지정해줬는데 서버를 실행하고 나니 'user_tb'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했다. 뭔가 이상해서 ddl-auto를 create로 지
bbogle2.tistory.com
728x90
반응형
'백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 Docker compose 도커컴포즈 설치 이유 설치 방법 (0) | 2024.11.09 |
---|---|
python 웹 프레임워크로 Fastapi 사용하는 이유 (0) | 2024.08.10 |
[java] 추상클래스와 일반 클래스의 차이(abstract / class) (0) | 2024.04.30 |
[mac] 자바 버전 여러 개 깔려있을 때, 1초 만에 환경변수 변경하기 (0) | 2024.03.12 |
스프링부트 CI/CD 구축하기 (2) AWS EC2에 탄력적 IP부여하기 (0) | 2024.03.03 |